top of page

Following the principle of resonance

Text by Jang Jintaeg (Independent curator)

2021.08

 

  1. The resonance is a vibration. The vibration is a transfer of energy. The repetition of the unique frequency presents amplitude and energy. This specific vibration generates the phenomenon of resonance. This means we can expect the bigger resonance when we apply the force that has equal vibration to the pendulum vibrating relative to a fixed axis or a point, or when we equally match the frequencies of different characters. This work The fact that the principle of resonance Yohan Hàn’s work takes is drawing upon the functions of physics and is operating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of people, means it is in line with other existing works and is being distinctive from them. The author’s work is separated into individual works which spread such principle of resonance through various mediations and fairly occupies its position as a part of the whole experiment making resonance on sensual relationship between people through the body. The creation of resonance phenomenon is a state, a trace, and a record which he has conducted, conducts, and will try to conduct is what has happened, happens, will happen through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upcoming.

  2. The principle of resonance encompass the overall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ased on the set of process from the exact moment of the start of such a resonance to the shape of flow delivering its resonance through a medium, consequently, the chemistry in the sense drawn from such methodology. Moreover, what we call as the principle which defines the resonance not only perfomatically reproduce a series of sequence by simply following the linear formula, but also bring out the statistical median values consequently generated in the middle of executing it. Those values are literally the outcome gained in the middle that accumulate themselves or often volatilize. At this moment, reversing the cause and effect of banishing the repetition of the accumulation and the volatilization or retaining them emphasize its importance even more. What interests us is a conditional characteristic that the subject of the action applying the principle and tracing the source of the creation would be singular or multiple, on the other hand, an individual or a group at the same time. On the base ground established as this, the stage is set. The stage now is a common time and space of immersion in which you and I get together to cultivate us, and it limits the frame of the sense and experience which can be released with the notion of mood, ambience and energy.    

  3. Yohan Hàn’s exhibition The principle of resonance (Art space Boan, 2021) is a record of the phenomenon occurring on the ideal stage and is something left as the trace itself which unfolded by intertwined sense and experiences of an individual and a group. The exhibition space mainly divided into lower and upper floors. The first floor is to be the lower world through digging under the floor, stretching out, and basing the top, and the seconde floor is to be the upper world which could be emptied or filled by the air that volatilizes or stays. First, at the lower world, JiHaByeolGok (sound ground), 2021 symbolize the wave crossing the stratum below with the ground surface covered with the soil,  Untitled(skin), 2021 which is a wooden clump apparatus covered by the addedskin of animal and Crop – graft, 2021 series intuitively evoke the function of percussion. These functions for spectators to imaginably prepare for the possibility of matching vibration, that is, the resonance at the stage that is likely to happen at any time. The installation that occupies the under space postulate the concept of supporting the upper in the dimension of the space as this, and the installed objects imply that it will be used for a specific purposes in the upcoming time as the residue from the event which has already happened in the past. Spectator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sense this specific frame of the immersion finally from the environment established as such.

  4. While the lower floor undertakes the role of basing something in the two dimensions of time and space as this, the upper floor focuses on evok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reator, the work, and the spectators by evaporating the imagery of speciation that has entered in so-called states of preparation. In addition, once the lower floor relatively leads the subjects to follow the time centering on the space, Yohan Hàn here summons multiple layers of reality that is the phenomenon of resonance through an online platform open chat room where free participation is available, the performance and its trace instructed by the conversations occurring in the chat room, and lastly, Flesh of Nexus, 2021, the work framed in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video which enables viewing from a distanc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onance frequency that spreads far and gets bigger with the concentric circles of the body ignition symbolizing the real-time relationship of the two above. The resonant motion, a kind of epicenter that has been started from the first sender is being spread by making the similar behavior continued along with some performance mediators. When this reaches the final mediation, that is the spectators, the energy of vibration partially remains or gradually disappears. This spreading process of vibration in which we participate all together, the artist propose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the new relationship by finally connecting the sign of the resonance from the first sender to the voluntary participation stage of spectators, showing the principle of resonance can boil down to the problem of individuals’ will and their choice. 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process goes through the channels which the artist prepared, playing the variation of time–sign that occupies the time different from each other such as live broadcasting (on-site performance), streaming (CCTV), and recording (video).

  5. The principle of resonance that drives Yohan Hàn’s work is equipped with self-powered system which can maintain the model from the kinetic energy which occurs through complicatedly crossing the layers of complex concepts. The fact the principle of the movement that operates this actually carries the minimal and simple condition is shown as the conclusion of counteraction to balance and reconcile the things that contrast too much. The artist establishes the directing structure on the new spectrum by generating opposing physical actions such as sedimentation and erosion, fragmentation and agglutination, and meeting and parting at the same time. As above, this exhibition has the resonance as the main concept and has established a situation where all the audiovisual sense from almost every position which is prepared in the stage of complex sense according to the author’s unique direction should be actually used in every aspect of creating and spectating. By doing this, Yohan Hàn grants the options of being connected and disconnected in an extremely sensual term to both the performer and spectators, and reminds them of the tiny difference between doing it and not doing it.

 

 

공명의 원리를 따라서

​글/ 장진택 (독립큐레이터)

2021.08

  1. 공명은 울림이다. 울림은 곧 어떠한 힘의 전달이다. 고유한 진동수의 반복 작용은 진폭과 힘을 현현한다. 이 특정한 진동이 공명의 현상을 일으킨다. 이는 고정된 축이나 점을 기준으로 일정하게 진동하는 진자와 일치하는 진동의 힘을 가하거나, 서로 다른 특성의 주파수를 일치하도록 선택했을 때, 우리는 더 큰 공진을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요한한의 작업이 취하는 이 공명의 원리는 이상의 물리학적 함수를 기초로 하면서, 그 작동의 바탕을 인간의 관계로 두고 작동한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그것과 궤를 같이하기도 혹은 구별되기도 한다. 작가의 작업은 그러한 공명의 원리를 다채로운 매체를 통해 퍼뜨리는 개개의 작품들로 분리되어 있으면서, 신체를 매개로 인간 사이의 감각적 관계를 공진케 하는 총체적인 실험의 일부로서 제 지위를 공평하게 점유한다. 그가 행해 온, 행하는, 그리고 행하려는 공명 현상의 생성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시간을 관통하면서 일어났거나, 일어나거나, 또는 일어날 것이라는 현상이며 흔적이자 기록이다.

  2. 공명의 원리는 그처럼 어떠한 함께 울림이 시작되는 바로 그 순간으로부터, 그것이 무언가를 매개로 자신의 울림을 물적이나 심적으로 전파하는 흐름의 형상, 결과적으로는 그러한 방법론이 도출하는 감상에서의 화학 작용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기반한 인과관계 전반을 아우른다. 게다가 공명을 정의하는 이 원리라고 함은 선형적 공식을 단순히 따르면서 일정한 순차를 공연적으로(performatically) 재연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수행하는 도중에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통계적 중간값을 끊임없이 내어놓는다. 그 값들은 불리는 말 그대로 도중에 얻어진 결과물로 그 스스로를 축적하거나 때로는 휘발케도 하는데, 이때 축적과 휘발의 반복이 사라지게 하거나 남겨둘 수밖에 없었던 원인과 결과를 돌이키는 일은 한층 더 제 중요성을 부각한다. 흥미로운 건 원리의 적용 및 그 생성의 근원을 추적하는 행위의 주체는 단일한 한편 다중일 수도 있고, 다른 한편 개인인 채 집단일 수도 있다는 조건적 특징이다. 이렇게 조성된 바탕 위에 무대는 세워진다. 무대는 이제 너와 내가 한데 모여 수행하는 몰입의 공통 시간이자 공간으로, 기분이나 분위기 그리고 기운의 개념으로 해제 가능한 감각과 경험의 프레임을 한정한다.  

  3. 요한한의 전시 공명의 원리 (보안여관, 2021)는 이상의 장에서 벌어지는 현상의 기록이자 개인과 집단의 감각과 경험들이 뒤얽히며 펼쳐낸 흔적 그 자체로 남겨진 무엇이다. 전시 공간은 크게 하층과 상층으로 나뉜다. 그 중 아래층은 그 바닥 아래를 헤집고 다시금 뻗어 나가며 위를 바탕하는 하부계가, 위층은 휘발하거나 정체하는 공기를 통해 비워지거나 메워지는 상부계가 된다. 먼저 아래에서는 지하별곡, 2021 이 아래의 단층을 가로지르는 파동을 흙으로 덮인 지면으로 상징하고, 생명체의 피부를 덧붙여 감싼 목재 덩어리 기구들인 무제(살), 2021크롭-이식술, 2021 연작은 타악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환기한다. 이들은 언제고 일어날 법한 단계에서 관람객으로 하여금 공진, 즉 맞울림의 가능성을 심상적으로 예비토록 기능한다. 이하의 공간을 점유하는 설치는 이와 같이 공간의 차원에서 위를 떠받치는 개념을 상정하면서도, 그 설치물들은 과거에 이미 일어난 사건의 잔여물로서나 앞으로의 시간 속에서 특정한 용도로 사용될 것을 암시한다. 그렇게 조성된 환경으로부터 비로소 관객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이 특정한 몰입의 틀을 비로소 감각한다.   

  4. 하층이 이와 같이 시공간의 양차원에서 무언가를 기초하는 역할을 맡았다면, 상층은 소위 준비상태에 돌입한 관람의 심상을 기화하면서 창작자, 작품, 관객 사이의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데 집중한다. 또한 아래층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공간을 중심으로 시간을 뒤따르도록 주체들을 이끈다면, 요한한은 여기서 참여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오픈 채팅방, 그리고 대화방 내에서 일어나는 대화를 지시 삼아 수행되는 퍼포먼스와 그 흔적, 마지막으로 그 둘의 실시간적 관계를 표상하는 신체 발화를 동심원으로 크고 멀리 퍼져가는 유무형의 공명 진동수를 일정 거리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하는 관제 영상의 구도로 짜인 작업 (2021)을 통해 공명 현상이라는 실재의 다층들을 소환한다. 일종의 진원이 되는 최초 발신자로부터 시작되는 공명의 움직임은 이후 몇몇 수행 매개자들을 따라 유사 행위를 이어 나가게 함으로써 퍼뜨려진다. 이것이 관객이라는 최종 매개에 다다를 때, 그 진동의 에너지는 일부 유지되거나 점차 소멸한다. 이 함께 하는 진동의 전파 과정에서, 최초 발신자로부터 출발하는 울림의 신호를 종국엔 관람객의 자발적 참여의 단계와 작가는 연결 지으면서 공명의 원리가 곧 개인의 의지와 선택의 문제로 귀결할 수 있다는 새로운 관계 맺음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그리고 그러한 동기화 과정은 작가가 마련한 각각의 채널을 거치면서 실황(현장 퍼포먼스)과 스트리밍(CCTV) 그리고 녹화(영상)라는, 서로 다른 시차를 점유하는 시간-신호로 변주된다.  

  5. 요한한의 작업을 추동하는 이 공명의 원리는 이처럼 다단한 개념의 층위를 복잡하게 넘나들며 발생하는 운동 에너지로부터 그 모델을 자동으로 유지하는 자가-발전형 시스템을 갖췄다. 실제 이를 구동하는 무브먼트의 원리가 단조로운 조건을 최소로만 수반하는 건, 너무나도 대비하는 것들 사이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기 위한 반작용의 결과처럼 보이기도 한다. 시공의 재료를 두고 작가는 퇴적과 침식, 분절과 접합, 이합과 집산처럼 상호 대치하는 물리 작용을 그에 동시적으로 일으킴으로써 새로운 범주(spectrum)의 연출 구조를 형성한다. 이렇듯 본 전시는 공명을 주요한 개념으로 작가의 독특한 연출에 따라 이 복합 감각의 장에 마련된 거의 모든 위치에서의 시청각을 창작과 관람의 모든 측면에서 적극 동원해야 하는 어떤 상황을 조성했다. 이로써 요한한은 지극히 감각적인 연결이나 분절의 선택지를 창작자와 관람자 양측에 부여하고, 결과적으로 그것을 행하거나 행하지 않았을 때의 미묘한 차이를 모두에게 상기하는 것이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