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Fragmented body in the world of (dis)appearing

Text by Elodie Heejin Hong (Indipendent curator) 

2022.09

 

"How can the world be so weak in this collapse, so weak in this perfectly realistic dictatorship, and so charmed by that - to be specific, not the fact but its disappearance?"[1]

[1] Jean Baudrillard, <Pourqoui tout n'a-t-il pas déjà disparu?>, Translated by Taewhan Ha, Published by Minumsa, 2012

 

   The attribute of communication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is de-concealed like the clear water within a valley. All the connecting rings are revealed but their depth and ecology are not told. It is not about the matter of responding and the right answer of listening and speaking but the matter of questioning and contemplating sensation and symptoms as well as the matter of the human body and the world’s stereotypes. Yohan Hàn asks about the human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is rather broken - even though going beyond the on and off world in the post internet era is put as the foundation of his work. By delving into intuitive figures and ancient senses of the body, the artist examines fragments of a body, gestures, and textures of the skin as if digging up archaeologies, and expresses his work within the subject of ‘inside resonance’ and ‘bodily sense’.

   The artist takes on-site elements from a performance such as drumming sounds, light and body gestures, and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audiences in order to direct, without a perceptible plan, an open chat room, and ‘possible-to-communicate-or-like-mumbling’ chat room sentences create a potential for an incident while continuously being connected like the connection network of a rhizome’s structure without the central figure under the breath of continuity and shuddering. This exhibition attempts to show the double world of disappearing and appearing as a networked participator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by revealing from such connectivities  what the human enclosed body has lost and attained through a fragmented body in pieces, a transformed body in digital, a mechanized body, a body adhering to its self-reality, etc.

 

“The light from the moon does not light up the stage of our daily lives. The place that it suspiciously throws the light on is not the earth but the opposite side of it or the land attached. It is not the earth that has a satellite called the moon anymore. It is the earth that changed into a satellite of the moon by itself…” [2]

[2] Walter Benjamin, <Berlin Childhood Around 1900>, Translated by Miae Yoon, Publishing Group Gil, 2014

   If the moonlight between the moon and earth, and digital grace between the earth and people are adapte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story with self-transformed-digital satellite human beings. In relation to this, Jean Baudrillard said,

“Our body would be just the mechanical equipment of vision, a weak attachment, and with childish obstacles that dominate us from far away.”[3]

[3] Jean Baudrillard, <Pourqoui tout n'a-t-il pas déjà disparu?>, Translated by Taewhan Ha, Published by Minumsa, 2012

   By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on and earth, we can re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mechanisms, and the world of disappearing and appearing. The <Long gibbous> series that deals with the moon covering the ancient view of time is emphasized with the artist’s unique way of resonance while representatively explaining the above relationship. Gibbous refers to the gibbous moon between the half and full moon, and represents the disappearing/ unseen/ virtual world in this work. And the form is in contrast to the title, which cuts a remaining part of the full moon after its expanding from its disappearing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formative distortion of the crescent moon, the imaginary place of the moon is omitted. The gibbous part in the work enters into the world of disappearing but it is not actually in the real world as a planet without the volume of the moon. Like this, disappearing is existential but its depth and length are not explained. A piece of the moon that loses distortion in the world of appearing shows its size but as the artist suggests with the disappeared gibbous moon, audiences are led to contemplate on the subject.

   When questions and contemplations are no longer validated in the double world of appearing and disappearing, the appearing world that seems to be in contrast to the disappearing world and has its physical scale, keeps its independent power as its force. If the digital attained the god’s grace by force like in the appearing world, is the disappearing world broken down? Then, what is next? Or can even this question be captured by any mechanism and system? What makes human beings so fascinated and led to leave traces and close their visual perception to use ventriloquism? We can come back to our body again and examine its senses.

The work of body gesture, vision, sound, body fragment, and body trace guide us to a disappeared /unseen /virtual world that is not possible to translate into language because they are the world unable to be captured by the system that is obscure and perceived but possible to sense. The artist puts the coordinates of the world to the ancient incidental map and operates all the linguistic worlds such as the time of the moon, the time of the body, and the space-time of machines so they can work as symbolic situations. Showing the topological time viewpoint, the coordinate in the exhibition in September 2022, arrives at the ancient event. It is the moment when in the banquet hall of ancient Babylonia, when the last king of Babylon, Belshazzar, was bathing in the holy water, a part of the body, a finger, appeared on the wall and wrote “méné méné tekel upharsin” (Daniel 5:25). It was just before Neo-Babylonian Empire collapsed.

   At the moment of the appearing and disappearing of the world’s collapse, we are fascinated in front of the systems by our own selves from then and now, and the exhibition is opened with uncertainty about what is waiting to confront us. We are ready to move to ‘there’ where secrets and imaginations are free as the disappearing world and the fragmented body are given expression in new works through Yohan Hàn’s unique existing open chat room system.

 

사라짐과 나타남의 세계 속 파편화된 몸

글. 홍희진 독립큐레이터

2022.09

"어떻게 세상은 이런 붕괴에 그토록 취약할 수 있고, 이런 완전한 현실성의 독재에게 그토록 취약할 수 있으며, 어떻게 그것-정확히는 현실이 아니라 현실의 사라짐-에 매혹될 수가 있는가?"[1]

[1] 쟝 보드리야르, <사라짐에 대하여>, 하태환 옮김, 민음사, 2012, 85쪽

   초연결사회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속성은 계곡의 맑은 물과 같이 탈은폐적이다. 모든 연결고리를 드러내고 있지만 그 깊이와 생태를 말해주지 않는다. 듣고 말하기의 응답과 정답의 문제가 아닌 감각과 징후에 대한 질문과 사유의 문제이며 인간의 몸과 세계의 상동성 문제이다. 포스트 인터넷 시대 온오프 세상을 넘나들지만 오히려 분절되고 있는 인간의 소통방식에 의문을 갖은 요한한 작가의 질문을 작품의 초석으로 얹어 놓는다. 몸의 선험적인 요인들과 태곳적 몸의 감각에 천착하는 작가는 마치 몸의 고고학을 파헤치듯 몸의 파편들과 몸짓, 피부의 표면을 고찰하며 신체적 ‘공명’, ‘몸 감각’을 주제로 작품들을 선보인다.

   북(鼓) 소리, 빛, 몸 동작 등의 퍼포먼스 현장 요소들과 관객들의 즉흥적 참여까지 수용하며 위계 없는 연출을 펼치는 작가는 오픈 채팅방을 열어 ‘대화 가능한 혹은 중얼거림과 같은’ 채팅창 문구들은 이어짐과 끊김의 호흡으로 리좀(rhizome) 구조 연결 망처럼 중심 없이 지속적으로 연결접속하며 사건의 잠재력을 생성한다. 이번 전시는 초연결사회 속 네트워크 참여자로서 인간의 닫힌 몸은 무엇을 상실하고, 소여 하였는지를 파편화되어 조각난 몸, 디지털로 변모한 몸, 기계화된 몸, 자기 현실성에 들러붙은 몸 등 시스템에 포획된 경직된 몸과 포획되지 않거나 지배 받고 지배하는 힘들의 평형상태인 무브먼트 제로의 몸 등 여러 연결접속들로 사라짐과 나타남의 이중 세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달에서 흘러내리는 빛은 한낮의 우리 삶이 벌어지는 무대를 비추는 것이 아니다. 달빛이 의심스럽게 빛을 던지는 구역은 지구가 아니라 지구의 반대편 혹은 지구의 부속지인 것처럼 보인다. 그곳은 더 이상 달이라는 위성을 지닌 지구가 아니다. 스스로 달의 위성으로 변한 지구이다.” [2]

[2] 발터 벤야민,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 / 베를린 연대기>, 윤미애 옮김, 도서출판 길, 2014, 144~145쪽

달과 지구 사이에서 ‘달빛’을 ‘디지털의 은총’으로 ‘지구’를 ‘인간’으로 번안하여 본다면, 스스로 '디지털'의 위성으로 변한 '인간'으로 성립 가능한 이야기이다. 연이어 보드리야르의 문구를 덧대면,

 

“우리의 신체는 멀리서 우리를 지배하는 기계 장치의 환영지, 허약한 부속, 유치한 장애에 불과할 것이다.”[3] 

[3] 쟝 보드리야르, <사라짐에 대하여>, 하태환 옮김, 민음사, 2012, 85쪽

 

   달과 지구 관계를 빌어 우리는 여기서 인간과 기계 장치의 관계, 사라짐과 나타남의 세계에 대해 환기할 수 있다. 고대 시간관을 간직하고 있는 달을 소재로 한 작품 <Long gibbous> 시리즈는 작가 특유의 공명 원리를 따르고 있는데 위의 관계들을 설명해주는 대표적인 예이기도 하다. 지부스(gibbous)는 반달과 보름달 사이의 볼록하게 생긴 철월(凸月)을 뜻하는데 이 작품에서는 사라진/보이지 않는/잠재적 세계를 드러낸다. 이 작품의 형체는 제목에 반하고 있는데 달의 부속지와 사라짐 이후 차오른 달에서 남은 부분을 직선으로 절단되어 초승달 특유의 형상적 이지러짐, 지구로부터의 환상지를 삭제한다. 작품에서 지부스 부분은 이미 형체가 사라짐의 세계로 진입했지만 실제세계에서 행성으로서 달의 온 부피는 변함이 없다. 사라짐은 이토록 존재하지만 그 깊이나 거리를 설명하지 않는다. 나타남의 세계에서 이지러짐을 잃은 달 조각은 규모를 드러내지만 작가는 작품 제목을 장치로 사라진 지부스를 가리킴으로써 관객의 사유를 끌어낸다.

   나타남과 사라짐의 이중 세계 속 질문과 사유가 없어진 순간 사라질 운명의 사라짐의 세계에 반하여 보이고 물리적인 규모를 갖는 나타남의 세계는 주체적인 힘을 무력으로 갖는다. 나타남 세계의 획득과 같은 방식으로 디지털이 무력으로 신의 은총을 갖게 되었다면 사라짐의 세계는 붕괴했는가? 그 다음에는 무엇이 있는가? 혹은 이 질문마저 기계 장치, 시스템으로 포획되는가? 인간은 무엇에 매혹되어 흔적, 침묵의 복화술에 시지각이 닫히고 질문도 소리내지 못하는 것인지 다시 몸의 감각으로 돌아와 고찰해볼 일이다.

   시스템으로 포획되지 않은 세계, 사라짐의 세계에서 애매(obscure)하고 지각 불가능하지만 ‘있음’의 낌새와 감각들을 발견하기 위해 몸 동작, 시선, 소리, 각종 몸 조각, 몸 흔적 작품들을 통하여 말과 문자로 교체 불가한 것들의 사라진/보이지 않는/잠재적 세계로 안내한다. 작가는 이 세계의 좌표를 태곳적 사건 지도에서 더듬거리며 언어의 세계인 달의 시간, 몸의 시간, 기계의 시공간을 모두 작동시켜 상징적 상황들로 펼쳐놓는다. 위상적 시간관으로 2022년 9월 전시장 좌표는 고대 사건의 순간에 도달한다. 고대 바빌로니아 연회장에서 바벨론 마지막 왕인 ‘벨사살’이 성물로 궁중 연회를 즐기던 중 몸 조각인 손가락이 벽에 나타나 히브리어 글씨로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다니엘 5:25)’을 기록한 순간이다. 바로 신 바빌로니아 멸망 직전이다. 세계 붕괴에 관여한 나타남과 사라짐의 사건 순간에서 그 때도 지금도 매혹되어 시스템에 스스로 포획되는 우리 앞에 무엇이 도착해있는지 의문을 품으며 이번 전시는 펼쳐진다. 우리는 요한한 작가 특유의 관객공간인 기존 오픈채팅방 시스템에서 사라진 세계, 파편된 몸까지 표현된 새로운 작품들로 비밀과 상상이 자유분방한 '그 곳'으로 이동한다.  

 

bottom of page